처음 아기 열이 나는 걸 보고 얼마나 당황했는지 몰라요 🥺

처음 아이를 낳고 육아를 시작하면서 가장 신경 쓰였던 게 바로 체온이에요.
기분이 조금만 다운돼 보여도, 평소보다 잠을 더 자도 “혹시 열 나는 건가?” 하고
체온계를 들이댔던 날이 열 손가락으로도 셀 수 없을 정도였죠.

그런데 문제는, 체온계로 잴 때마다 숫자가 제멋대로라는 거예요.
귀에 댄 건 37.5도, 겨드랑이는 36.1도, 이마 체온계는 또 다르고…
대체 어느 걸 믿어야 하는 걸까요? 😥

이젠 경험이 조금 쌓여서, 아이 체온 측정에도 나름의 팁이 생겼어요.
비슷한 고민 하시는 분들을 위해 정확하게 아기 체온 재는 방법을 정리해봤어요.


아기 체온, 몇 도가 정상일까? 🌡️

1. 아기 체온의 평균 범위

신생아와 영유아의 정상체온은 36.5~37.5도입니다.
어른보다 체온이 약간 더 높고, 하루 중에서도 변동이 있어요.

  • 아침보다 저녁에는 살짝 더 높을 수 있어요.
  • 울거나 수유 직후엔 일시적으로 0.3~0.5도 정도 상승할 수 있어요.

아이가 평소보다 더 더운 느낌이 들거나, 땀을 자주 흘리는 것 같으면
체온을 일관된 방법으로 자주 체크해주는 게 좋아요.


어떤 체온계를 써야 하나요? 🤔

2. 체온계 종류와 특징

아이를 위한 체온계는 주로 아래 네 가지가 많이 사용돼요.

  • 전자 귀 체온계(고막 체온계) : 빠르지만 깊숙이 넣지 않으면 부정확할 수 있어요.
  • 이마 체온계(비접촉식) : 간편하지만 외부 온도 영향이 큼.
  • 겨드랑이 체온계 : 안정적이지만 측정 시간이 다소 김.
  • 항문 체온계 : 가장 정확하지만 아이가 불편해하거나 거부할 수 있어요.

출산 직후에는 겨드랑이나 항문 체온계가 가장 정확하지만,
아이가 자라면서는 귀 체온계나 이마 체온계로 대체해도 괜찮아요.
단, 항상 같은 위치에서 같은 방식으로 재는 게 중요해요!


체온 정확하게 재는 꿀팁 🍯

3. 위치별로 체크할 때 주의할 점

❶ 겨드랑이 측정

  • 옷을 벗긴 후 겨드랑이에 체온계를 깊숙이 넣어 밀착되게 고정해요.
  • 측정 시간은 약 3분 이상 기다려야 정확해요.
  • 땀이 많을 땐 마른 수건으로 먼저 닦아주세요.

❷ 귀 체온계 측정

  • 양쪽 귀 중 높은 값이 나오는 쪽을 기준으로 해요.
  • 체온계를 올바른 각도(약간 위 방향)로 조심히 넣어야 해요.
  • 귀지가 많거나, 방금 귀를 만졌다면 수치를 믿기 어려워요.

❸ 이마 체온계 측정

  • 측정 전 이마의 땀을 부드럽게 닦아주세요.
  • 실내 온도나 이마에 붙은 머리카락 영향이 커요.
  • 아기 이마와 체온계를 항상 같은 거리에서 재야 편차가 작아요.

열이 날 땐, 체온을 자주 체크해 주세요 💧

아기가 열날 땐 하루에도 여러 번 체온을 측정해
발열 패턴을 파악하는 게 좋아요.
그리고 체온 측정 결과만 믿기보다는 아기의 컨디션이나 표정을 함께 봐주세요.

많이 처져 있고, 울음도 약하고, 먹는 양이 줄었다면
비정상 체온이 아니라도 병원 상담이 필요할 수 있어요.


엄마의 손길이 가장 정확한 온도계 😊

체온계를 잘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,
아이의 체온을 늘 피부로 느끼는 것도 정말 중요한 일이더라고요.

사소한 차이라도 꿰뚫어보는 엄마의 감이
가장 좋은 도구일 때가 많아요.

조금씩 익숙해지면서, 아이의 체온도
이젠 숫자보다 표정과 피부 온기로 먼저 느낄 수 있게 되더라고요.

오늘도 그 따뜻한 손으로 아이의 건강을 지켜주고 계신
모든 부모님들, 참 고생 많으세요. 😊

Similar Posts